파이썬에는 리스트라는 자료형이 있는데, 활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리스트 자료형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oddnum = [1,3,5,7,9,11]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생성할때에는 대괄호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을 해주면 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칸막이가 있는 한줄의 긴 수납장에 물건을 넣어둔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a = []
b = [3,4,5]
c = ['Life', 'is', 'too', 'short']
d = [6, 7, 'Life', 'is']
e = [8, 9, ['Life', 'is]]
리스트에 다양한 값들을 입력해보았습니다. 문자, 숫자, 또 다른 리스트, 또는 그것들을 섞어서도 입력할 수 있답니다. 연속된 값들을 담아둘 때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겠지요?
▣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에 넣어둔 자료를 숫자로 접근해서 읽어오거나, 잘라서 사용할 수가 있어요. 예제를 볼게요.
a = [4,5,6]
print (a)
print (a[0])
print (a[0] + a[2])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는 값입니다. 그래서 a[2] 의 값은 세번째 칸에 있는 3이 됩니다.
a = [3,4,5, ['d', 'e', 'f']]
print (a[3])
리스트 안에 또 하나의 리스트가 포함된 케이스입니다. a[3]으로 접근해서 출력 해보면 [‘d’, ‘e’, ‘f’] 값이 그대로 찍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안쪽 리스트의 두번째 값인 ‘e’ 만 가져오고 싶다면 어떻게 인덱싱을 해야할까요?
a = [3,4,5, ['d', 'e', 'f']]
print (a[3][1])
이렇게 두개의 인덱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어요. 이런 접근 방식으로 3중도 가능하지만, 복잡해져서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