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중·고등학교 전문상담교사
- 교육청 소속 공립학교 및 사립학교에서 학생 상담 및 심리 지원 업무 수행
- 학생의 정서적·사회적 문제 해결 지원
- 학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제공
- 학교폭력 예방 및 개입, 자살 예방, 정서행동 특성검사 등 운영
2. 교육청 및 관련 기관 근무
- 교육청 상담센터 (위(Wee) 센터, 학생상담지원센터)에서 상담 및 치유 프로그램 운영
- 교육연수원 등에서 상담 관련 연수 기획 및 운영
- 학교폭력예방센터 등에서 예방 교육 및 개입 활동
3. 청소년 상담 및 복지 기관 근무
- 청소년 상담복지센터(1388센터)에서 상담 업무 수행
- 청소년 쉼터, 청소년 복지시설에서 심리 상담 및 지도
- 지역사회 상담센터(Wee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서 전문 상담 제공
4. 대학 및 연구 기관
- 상담 관련 연구소에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상담센터에서 학생 대상 상담 업무 수행
- 상담 관련 강의 및 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5. 심리 상담 및 치료 센터 운영
- 개인 심리 상담소 개설 및 운영 가능 (추가 자격 요건 확인 필요)
- 사설 상담센터에서 아동·청소년 및 가족 상담 제공
- 상담 관련 콘텐츠 개발 및 강의 활동 가능
6. 기업 및 공공기관 상담사
- 기업의 직원 상담실(EAP)에서 직장 내 스트레스 및 심리 상담 제공
- 경찰청, 군대, 복지기관 등에서 상담 업무 담당
7. 프리랜서 및 온라인 상담 활동
- 온라인 상담 플랫폼에서 전문 상담사로 활동
- 상담 관련 콘텐츠 제작(유튜브, 블로그, 강의 등)
- 심리 상담 관련 도서 집필 및 강연 활동
💡 추가 고려 사항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증은 주로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청소년 및 교육 분야에서 상담 업무를 담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민간 심리 상담소를 운영하려면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 정신건강상담사 등의 추가 자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활동하고 싶은지에 따라 추가적인 자격 취득이나 경력 개발이 필요할 수도 있으니, 구체적인 진로 방향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더 자세한 정보를 드릴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