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주권과 데이터 주권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AI 주권과 데이터 주권은 서로 분리된 개념 같지만, 실제로는 깊게 맞물려 있는 개념이에요. 둘 중 하나만 확보돼서는 완전한 기술 독립이나 국가 경쟁력을 지키기 어렵기 때문에, 요즘 정책이나 기술 논의에서도 거의 세트로 언급돼요.

데이터 주권은 말 그대로 데이터의 소유와 통제권을 누가 가지느냐에 대한 문제예요. 개인이면 개인이, 기업이면 기업이, 국가면 국가가 자신과 관련된 데이터를 스스로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이죠. 예를 들어 한 나라의 시민 데이터가 해외 서버에서 처리되고 분석된다면, 그 나라는 사실상 데이터 주권을 잃은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AI 주권은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과 활용,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인프라와 알고리즘을 자국 혹은 자율적인 주체가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해요. 쉽게 말하면 외국의 AI 모델이나 클라우드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AI를 만들고 운용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해요.

이 두 가지는 따로 움직일 수 없어요. 인공지능은 학습 데이터 없이는 존재할 수 없고, 데이터의 양과 질이 AI의 성능을 결정하니까요. 결국 AI 주권은 데이터 주권 위에서 세워지는 구조예요. 데이터가 외부에 종속돼 있으면 AI도 함께 종속될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최근엔 국가 차원에서도 ‘AI 주권 확보 = 데이터 주권 강화’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요.

정리하자면, 데이터 주권이 ‘원재료의 소유권’이라면 AI 주권은 그 원재료를 가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자율권’이에요. 데이터를 통제해야 AI를 제대로 통제할 수 있고, AI를 자율적으로 운용해야 데이터 활용의 주체성을 지킬 수 있어요. 결국 두 개념은 한 몸처럼 움직이는 관계예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