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상위계층의 소득 기준은 보통 중위소득의 50% 이하로 정해집니다. 정확히 말하면, 기초생활수급자보다는 소득이 많지만, 여전히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계층을 뜻하죠. 그래서 ‘차상위’라는 이름처럼 복지 지원 대상에서 바로 한 단계 위에 있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은 해마다 변동되는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다시 계산됩니다. 정부에서는 매년 8월쯤 다음 해의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하는데, 이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가계금융복지조사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서 전국 가구의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반영해 정해지는 값이에요. 그러니까 차상위계층의 소득 기준도 고정된 금액이 아니라 매년 조금씩 오르거나 내릴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5,500,000원이라면, 차상위계층의 소득 기준은 그 50%인 약 2,750,000원 이하가 되는 식입니다. 단,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며, 일부 차상위 지원사업은 60%까지 적용되기도 하고, 자산 기준도 별도로 적용되기 때문에 ‘무조건 소득 50% 이하’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매년 발표되는 중위소득 변화를 꾸준히 확인해야 자신이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지를 알 수 있다는 점이에요. 특히 고정 수입이 적고 가구 구성원이 많을수록 지원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차상위계층 기준은 상대적인 기준이고, 해마다 그 기준선이 달라지기 때문에 관련 복지 정보나 공고를 잘 챙겨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