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유입을 유도한 성공 사례가 있나요?


인구소멸 문제는 지방소멸이라는 말로도 자주 불릴 만큼 심각한 사회적 과제입니다. 특히 농촌이나 군 단위 지역에서 출생률은 낮고 청년 유출은 계속되면서, 지방정부마다 청년 유입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중 몇 가지는 실제로 효과를 보며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전라북도 장수군의 ‘장수살이 청년 프로젝트’입니다. 장수군은 외지 청년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지역에 거주하며 농촌 생활을 체험하도록 지원하고, 이후 귀농·귀촌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임대주택 제공, 창업 지원, 지역 일자리 연계 등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일부 청년들이 실제로 정착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또 하나는 경상북도 의성군입니다. 의성군은 ‘이웃사촌 청년 시범마을’이라는 이름으로 청년 주택단지를 조성하고, 청년창업 공간, 공유사무실, 공공임대주택 등을 동시에 조성했습니다. 특히 IT기반 스마트팜을 연계해 창업과 정착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한 점이 주목받았고, 도시 청년들이 농촌에 새롭게 안착할 수 있는 모델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강원도 정선군도 청년 창업지원과 협동조합 유도를 통해 외부 청년 유입을 확대하고 있고, 경남 하동군은 지역문화와 연계한 예술창작촌 형태로 예술인 청년들을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례들의 공통점은 단순히 돈을 지원하는 것만이 아니라, 거주·일자리·사회적 관계 형성을 함께 고려한 점입니다. 청년이 단기 체류가 아니라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느끼게 만드는 게 핵심이라는 말이죠.

물론 모든 지역이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기반 없는 행정 중심의 정책은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지역별로 특성에 맞는 방식으로 시도하고 있는 몇몇 자치단체들은 인구소멸 속도를 늦추거나 멈추는 데 일정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