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 고장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에 갇히는 경우 당황하지 않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한 구조를 위해서는 올바른 대처법을 숙지하고 비상 연락처를 확인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승강기 고장 시 대처 방법
- 침착하게 상황을 파악하기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추거나 이상한 소음이 들릴 경우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현재 상황을 확인한다. 급하게 문을 열려고 하거나 무리하게 탈출을 시도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 비상 버튼 또는 인터폰 사용하기
승강기 내부에는 비상 버튼과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다. 이를 눌러 관리실이나 유지보수 업체와 연락을 시도하며,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한다. - 휴대전화로 외부에 연락하기
비상 버튼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휴대전화를 이용해 관리사무소, 승강기 유지보수 업체, 119 등에 연락한다. 신속한 구조를 위해 정확한 위치와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기구를 이용해 호흡 유지하기
엘리베이터 내부는 환기 장치가 되어 있어 산소 부족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 최대한 몸을 편안하게 유지하고 호흡을 고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구조될 때까지 불필요한 움직임 자제하기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심한 움직임이나 무리한 탈출 시도를 하면 2차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움을 요청한 후에는 구조될 때까지 차분히 기다리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비상 연락처
- 건물 관리사무소
해당 건물의 관리사무소 연락처를 미리 확인해 두고, 승강기 고장 발생 시 즉시 연락해 조치를 요청한다. - 승강기 유지보수 업체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유지보수 업체의 연락처가 부착되어 있다. 이를 확인하고 즉시 연락하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 119 구조대
긴급한 상황에서 구조가 필요할 경우 119에 신고하면 소방 구조대가 출동하여 안전하게 구조해 준다. - 승강기 안전관리원(한국승강기안전공단 1566-1277)
승강기 안전과 관련된 상담이 필요하거나 관리 부실로 인해 반복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의 승강기 안전관리원에 문의할 수 있다.
승강기 고장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비상 버튼과 인터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구조될 때까지 안전하게 대기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또한, 평소에 비상 연락처를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