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거실태조사 (www.korhs.kr)


https://www.korhs.kr

2025년 주거실태조사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어떤 집에서 살고 있고, 이사를 자주 하는지, 월세가 부담되는지, 집에 만족하는지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조사입니다. 그냥 단순히 몇 평이냐, 몇 명이 사냐 이런 수준을 넘어서 생활 전반을 체크해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국토연구원에서 맡아서 실행합니다. 예전에도 비슷한 조사를 계속해왔는데, 이번 2025년 조사는 조금 더 확대되고 세분화된 느낌이 들더라고요

조사 기간은 2025년 9월부터 2026년 1월까지로 넉넉하게 잡혀 있고요. 전국에 있는 표본 가구를 무작위로 뽑아서 조사원이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응답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가구주나 가구주의 배우자가 주로 대상이 되며, 일부 항목은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자산 정보나 주거 만족도 같은 민감한 부분도 묻긴 해요. 물론 통계 목적이고, 개인 정보는 철저히 비공개로 처리된다고는 하지만 그런 부분에 예민한 분들은 거부하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조사에 참여하면 소정의 보상도 있어요. 모바일 상품권을 준다고 하고, 조기 참여자한테는 커피 쿠폰도 추가로 제공된다고 합니다. 조사라는 게 귀찮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런 데이터들이 모여야 정부가 어디에 예산을 더 쓰고, 어떤 정책을 펴야 할지 근거가 생기니까요. 특히 주거복지 관련된 예산은 민원보다도 이런 수치를 더 믿고 움직이거든요

이번 조사는 특히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이나 주거비 부담 수준, 주택 소유에 대한 생각 같은 항목들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거예요. 아무래도 집값, 전세 문제, 이사 문제 같은 게 요즘 사람들한테 예민하니까요. 결과는 나중에 통계청이나 국토부 사이트를 통해 요약 자료로도 볼 수 있고, 좀 더 관심 있는 사람은 마이크로데이터를 신청해서 직접 분석할 수도 있어요. 연구자나 언론 쪽에서 이 자료 많이 씁니다

결국 이 조사는 집값을 잡아준다든가 하는 직접적 효과는 없지만, 정책을 만들고 방향을 잡는 데는 꼭 필요한 기초 작업입니다. 그동안 왜 이런 정책이 나왔는지 이해 안 가는 게 있다면 이런 자료들이 어떤 흐름으로 쓰였는지를 보면 실마리가 풀리기도 해요. 참여 요청이 오면 귀찮더라도 응답 한번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