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나물을 활용한 대표적인 요리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봄철 밥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푸릇한 나물 중에 ‘전호나물’이라는 이름이 조금 낯선 분들도 계실 거예요. 하지만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은은한 향과 아삭한 식감 덕분에 ‘한 번 빠지면 계속 찾게 되는’ 나물로 통합니다. 전호는 원래 약재로도 쓰이는 뿌리식물이지만, 봄에 돋아나는 연한 잎과 줄기는 식용으로 활용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전호나물은 쌉싸름한 맛과 함께 살짝 단맛도 감돌아서, 너무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입맛을 확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무쳐 먹거나 국에 넣어 먹으면 봄철 입맛 돋우는 데 딱 좋아요. 무엇보다 조리법이 복잡하지 않아서 부담 없이 시도해볼 수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요리법은 ‘전호나물 무침’입니다. 먼저 전호나물을 깨끗이 씻은 다음, 끓는 물에 소금을 살짝 넣고 30초 정도 데칩니다. 너무 오래 데치면 특유의 향이 날아가니 짧게 데치는 게 포인트예요. 데친 나물을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짠 후, 고추장이나 된장, 다진 마늘,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조물조물 무쳐주면 완성입니다. 취향에 따라 고추장을 넣으면 조금 더 매콤하고, 된장을 넣으면 고소한 맛이 강조돼요.

두 번째는 ‘전호나물 된장국’입니다. 육수는 멸치나 다시마로 간단히 내고, 된장을 풀어 끓인 후 데친 전호나물을 넣어 한소끔 끓이면 끝이에요. 두부나 감자를 함께 넣어도 좋고, 봄철에는 냉이나 달래와 섞어 끓이면 더욱 향긋한 봄내음이 살아납니다. 깔끔하면서도 은근한 깊이감이 있어서 입맛 없을 때 부담 없이 즐기기 좋은 국이죠.

그 외에도 전호나물은 비빔밥에 넣거나, 전으로 부쳐 먹어도 괜찮습니다. 전으로 만들 땐 밀가루보다는 찹쌀가루를 약간 섞어야 더 쫄깃한 식감이 나고, 나물의 향도 살릴 수 있어요. 특히 전호 특유의 아린 맛이 살짝 있을 때는 부침요리로 활용하면 그 맛이 중화돼서 먹기 편해집니다.

전호나물은 한철 식재료라서 봄이 지나면 신선한 걸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봄철에 조금 넉넉히 구입해 데쳐서 소분해 냉동해두면, 3-4개월은 넉넉히 두고두고 활용할 수 있어요. 봄의 맛을 오래 즐기는 아주 간단한 팁이기도 합니다.

전호나물은 요란하지 않지만 깊은 맛이 있습니다. 봄철 나른해진 몸과 마음에 은은한 생기를 불어넣어주는 제철 나물. 입맛이 없을 땐 무침 한 접시, 속이 허할 땐 국 한 그릇으로 조용히 기운을 챙겨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댓글 남기기